본문 바로가기

서해랑길

57-58구간(25km, 송석리~홍원항)

2024. 2. 25(일)

57구간 (15.9km)+ 58구간(9.1km)=25km

 

57구간 (15.9km) 송석리 와석노인회관-다사항-비인해변-신도리갯벌체험장

 

1월 한 달 동안 남미 여행을 다녀왔고, 설 연휴로 2월 둘째 주 트레킹 일정이 없었기 때문에 두 달 만에 서행랑길을 이어간다.

비가 내린다. 벌써 일주일째 거의 해를 보지 못했다.

 

810분 진잠에서 중봉님을 마지막으로 태운다.

이번 서해랑길 57구간 여정에 함께 한 귀연 식구들은 23명이다. 오랜만에 귀연 식구들을 보니 반갑다.

 

백범 회장이 오늘 처음 참여한 회원들을 소개하고, 남미 여행 소감을 이야기하라며 나에게 갑자기 마이크를 건넨다.

 

여행 이야기는 함께 여행한 동행이나 그곳을 여행한 경험이 있는 사람, 아니면 그곳을 여행하려는 사람들에게는 추억을 떠오르게 하고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흥미롭지만 그렇지 않으면 큰 흥미가 없는 이야기지만, 기왕 마이크가 주어졌으니 아직도 나에겐 생생한 이야기를 풀어낸다.

 

이번 남미 여행에서 가장 강렬하게 기억에 남아있는 비니쿤카를 걸어서 오르며 고소를 겪은 이야기, 피츠로이 봉의 불타는 고구마를 보기 위해 새벽에 랜턴 불빛으로 어두움을 밀어내며 산을 오른 이야기, 우유니 소금사막에서 남반구 하늘에 쏟아질 듯한 별빛 투어 이야기, 토레스 델 파이네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자연, 아르헨티나의 리콜레타 공동묘지 이야기와 파업으로 우수아이아에서 하루를 더 묵으며 에메랄드 호수 트레킹을 한 이야기, 라탐 항공의 지연 비행으로 귀국 항공편을 놓쳐 상파울루에서 공짜로 하루를 더 묵은 이야기 등 두서없이 주절주절 늘어놓는다. 다행히 남미를 오래전에 다녀온 청산님과 곧 남미 여행을 떠나는 쪽빛님 그리고 오랫동안 산행과 트레킹을 함께 해 온 산행 식구들이 이야기를 지루해하지 않고 들어 주신 덕분에 이야기를 잘 마무리 한다.

 

940. 버스에서 내려 둘러보니 작년 6월 남부지방 장맛비 소식에 17~18구간으로 예정되었던 서해랑길 트레킹을 일기예보 상 비가 오지 않는다는 장항 서천 55~56구간으로 변경하여 걸었던 마지막 장소다. 더워서 고생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서해랑길 57구간은 송석리 노인회관에서 시작하여 선도리 갯벌체험마을까지 약 16km다.

 

단체 기념 사진을 찍고 A팀은 서둘러 걸음을 옮긴다. 마을길로 들어서자 곧바로 송석항과 송석 넓은 갯벌이 나타나고 아목섬이 보인다.

섬의 모양이 거위의 목처럼 생겼다고 하여 아목섬이라고 부르고, 아항도(鵝項島)라고도 힌다. 『해동지도』(서천)에 '아항(牙項)'으로 나와 있다.
송석항과 송석갯벌

 

철새 나그네길을 따라 송석해변으로 향한다.

글램핑장

 

대한불교 삼론종 약사암. 1989년 4월 1일 충주의 우암정사(愚岩精舍)에서 창종한  한국 불교 27개 종단의 하나라고 하는데  삼론종은 처음 들어보는 종파다.

 

판교천 다리를 건넌다.

 

장촌 마을로 들어선다.

장구2리 마을회관 앞을 지난다. 마을회관 앞에는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한 '깔끔美방"이 설치되어 있다.
백년초

 

서해랑길은 다사항에서 해안도로를 따라 이어진다.

다사항 석방렴(독살)
돌로 담을 쌓기 때문에 한자어로 석방렴(石防簾)이라고도 부르는 독살은 해안에 돌을 쌓아 밀물이 되면 고기가 같이 들어왔다가 썰물이 되면 물이 빠지면서 돌담에 남는 고기를 잡는 전통적인 고기잡이 방식이다. 서해안 지역에서는 독살 외에 독장, 쑤기담이라고도 부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기다란 해변을 이룬 선도리갯벌체험장이 펼쳐지고, 월명산(298m) 산줄기가 서천군 비인면을 감싸면서 서해바다를 바라보고 있다. 선도리는 원래 이름난 해수욕장이었다. 해변에 물막이용 방파제가 세워진 뒤 모래가 쓸려나가 백사장이 많이 줄었다. 요즘은 바다 중간에 들어가야 모래밭이 펼쳐진다.

다사항은 남쪽의 송석항과 마주보면서 큰 만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썰물 때면 드넓은 갯벌이 펼쳐진다.
정월대보름 풍어제 깃발

 

다사항에서 농로로 접어든 서해랑길은 장포리 마을을 지나 다시 해안가의 갯벌체험로로 들어선다. 할미섬이 바라다 보이는 장포리 바닷가에는 서천갯벌 습지보호구역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서면해변 남쪽에 위치한 할미섬은 바닷물이 완전히 빠지면 육지와 연결되지만 지금은 물이 차서 섬 본연의 모습을 되찾았다.
할미섬은 밀물에는 바위 윗부분만 드러나고, 썰물에는 해안과 갯벌로 연결되는 갯바위로, 할머니가 홀로 살다가 죽은 섬이라는 전설이 어려있다.
할미섬 간조시 사진
선도리 비인 해변 앞바다에 쌍도. 이곳으로 떨어지는 일몰 풍경이 아름다운 곳이라 사진 동호회 회원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쪽빛님이 이름을 알려줬는데 까먹었다. 아 이 기억력 어쩔꺼나
모래 해안에 붙어 있는 철모섬 (당산 바위)은 아침 일출과 저녁 일몰 사진을 찍기에 좋은 장소이다 .

 

비인해변이 길게 이어진다. 바닷물이 밀려들어오고 있지만 완전히 잠기지는 않았다. 

비인해수욕장은 해변 길이가 2.km이고 폭이 700m로 광활하다. 해송림에 둘러싸여 있는 건 큰 장점이다. 조수간만의 차가 커 썰물 때면 2∼km의 갯벌이 펼쳐진다. 덕분에 해수욕과 갯벌 체험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쌍도. 두 개의 작은 섬은 물이 빠지면 하나의 섬이 됐다가 물이 차면 두 개의 섬이 된다. 70m 정도 떨어져 있는 두 섬은 둘이면서 하나인 부부를 닮았다. 선도리 쪽에서 보면 왼쪽 섬은 거북모양이고, 오른쪽 섬은 고래모양이다.
비인해변에는 갯벌에서 잡은 조개를 이용한 조개구이와 해물칼국수가 유명하다.
유네스코 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서천갯벌
유네스코 지정 덕분에 잘 정비된 갯벌과 해안가
고기잡이로 생계를 꾸려가는 가난한 어부의 아들과 천석지기 부잣집 외동딸이 눈이 맞아 사랑에 빠졌는데, 이를 안 양가 부모의 반대에 두 젊은 남녀는 상사병에 몸져 눕게 되었다. 총각은 해당화가 만개한 봄 처음 만났던 날을 기억하고, 그 날 밤에 그 장소에 나갔는데, 마음이 통했는지 처녀도 같은 장소에 나와 기다리고 있지 않은가? 다시는 못 만날 것이라는 생각에 둘은 영원히 함께 하기 위해 손을 꼭 잡고 바다 속으로 걸어 들어갔다. 이들의 사랑을 반대한 딸의 부모는 뒤늦게 후회하고 용왕님께 자식을 살려달라고 지성을 빌었는데, 어느 날 앞바다에 두 개의 작은 섬이 우뚝 솟아났다. 고래와 거북 모양을 닮은 두 개의 섬을 후대의 사람들은 쌍도(雙島)라고 불렀다.
바닷물이 갈라져 300m 떨어진 쌍도까지 넓게 펼쳐졌던 갯벌은 이제 거의 잠겨가고, 쌍도로 띠처럼 이어지던 모래언덕은 점점 가늘어지고 있다. 모래언덕 위에 줄줄이 놓인 돌무더기들이 바다 속으로 완전히 잠기면 만조가 된다.

 

58구간(9.1km) 신도리 갯벌체험장-띠목섬해수욕장-서도초등학교-홍원항

꽃망울을 터트린 동백꽃
월하성은 달 아래 성이란 뜻. 월호리의 옛이름은 달포리다. 호수처럼 잔잔한 바다에 달빛이 비치는 모습이 아름답다는 뜻의 낭만적인 이름이다. 이길은 서해랑길이 아니다. 잘못 들어선길을 곧바로 되돌아 나온다.

 

띠섬목 해변 백사장을 따라 걷는다. 길어서 생각보다 지루하다. 

모래해변에 발자국을 남기면서 걷고 또 걷는다.

 

하루종일 가랑비를 뿌리던 구름 사이로 해가 얼굴을 내민다.

 

부근에 동백꽃으로 유명한 마량리 동백숲, 일출과 일몰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마량포구가 있어 시간 여유가 되면 함께 둘러보기 좋다.

해변가에 자리잡고 있는 서도초등학교에는 약 90명의 학생이 미래의 꿈을 키우고 있다고 한다.
한국중부발전 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천화력발전소 (舒川火力發電所). 무연탄발전소 2기를 폐쇄하고 1,000MW 급 신서천화전이 2016년 착공 되었다.

 

해변을 지난 서해랑길은 서면 도둔리 공암남촌길로 올라선다. 

 

도둔리 마을을 빠져나온 서해랑길은 홍원항으로 향한다. 

춘장대역 커뮤니티센터는 서천화력선 폐선으로 발생한 서면 도둔리 구간 옛 춘장대역사 자리에 지역인구감소 대응 및 폐철도 부지 주변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해 주민들에게 깨끗한 주거환경과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고자 2018년 공모사업 선정을 시작으로 3년여 만에 개관했다.​ 출처 : 충청뉴스

 

희망철길 공원이라고 조성된 이곳은 옛 춘장대역이 있었고 철길이 부설되었던 곳이다. 1983년 서천화력선(舒川火力線)은 대한민국 철도 중 몇 되지 않은 사유철도로 부설이 되었는데 신 서천화력발전소의 신설에 따라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연료인 무연탄을 철도가 아닌 선박으로 수송하게 되면서 2017년 5월 24일에 모둔 열차의 운행이 종료되었다.  

2023년 서천군에서 근린공원으로 재조성 한 곳으로 35년간 단절되었던 6개 마을(요포, 공정, 공암, 중리, 남촌, 동리)의 재화합을 희망한다고 한다.
서해에서 안면도와 대천 다음으로 명성을 날리는 지역이 서천 마량이다. 홍원항은 일출과 일몰을 함께 볼 수 있는 마량 포구가 있고, 동백정과 춘장대해수욕장이 지척이다.

 

오늘 트레킹은 홍원항에서 마무리한다.

 

홍원항 (洪元港)은 가을에 나는 전어로 유명하다. 돈먹는 생선이라 해서 '전어'라 불리는 이 생선은 예부터 '가을전어 대가리엔 참깨가 서말’이라는 말이 문헌에 나오고, ‘집 나간 며느리도 전어 굽는 냄새를 맡으면 집에 돌아온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서해안에서 나는 생선 중 최고로 꼽힌다.

 

근처 공터로 자리를 옮겨 개미님이 준비한 순대를 안주삼아 술 한잔하고 대전으로 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