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Seventh -day Adventists 이하 재림 교회)는 진리를 갈망 하는 소수의 사 람들로 시작되어지만 불과 한 세기 반 만에 전 세계 1천3백만 명의 신자 들과 재림교회를 영적 고향으로 생 각하 는 수백만의 사람들로 구성된 세계적인 복음주의 개신교회로 성장했다. 1517년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이 후, 개신 교회는 "오직 성경"을 신앙 의 유일한 권위와 표준으로 주장하 면서도 제각기 성경에서 발견한 진 리들을 중심으로 수십 종파로 분열 되었다. 하지만 각 교회들에 흩어진 성경 진리들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예언적인 대사건이 19세기 초엽 기 독교계에서 발생했다. | |
|
당시에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신약 성경에 예언된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이 임박했다고 하는 종말론적 신앙 분위기가 확산되었다. 이러한 종말론적 신앙분위기를 배경으로 하여 미국에서는 이른바 밀러운동이라는 전천 년적 재림운동이 초교파적으로 전개 되었는데 지도자는 당시 침례교회 신자였던 윌리암 밀러(1782-1849)였다.1831년부터 1844년까지 계속된 "예수 재림의 대각성" 운동은 각 교회들로부터 대대적인 호응을 얻어, 이름이 확인된 목사들만 해도 174명이 참여하였으며, 감리교, 침례교, 회중교, 크리스챤교, 장로교, 성공회, 루터교, 화란 개혁교회, 퀘이커교 등 많은 개신교 신자들이 동참하게 되었다. 밀러는 다니엘 8:14의 예언 연구를 근거로 1844년 10월 22일에 예수께서 재림하실 것이라고 주장했고, 특히 다니 엘 8장과 9장에 나타난 2300 주야에 대한 예언 해석과 역사적 성취과정을 근거로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의 임박성을 강조했다. 그의 예언 해석은 다니엘 7장과 계시록 13장의 1260일(또는 마흔두 달) 예언에 대한 개신교의 전통적인 해석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개신교회는 전통적으로 다니엘 7장의 "지극히 높으신 자의 성도를 괴롭게" 하고, "때와 법을 변개코자 할"(25절) 작은 뿔과, 계시록 13장의 바다에서 올라오는 "복합짐승"이 권세를 행사할 "마흔두달"을 1260 년에 걸친 교황권의 전제적 지배로 해석하고 있었다. 따라서 윌리암 밀러의 성서예언해석과 재림운동은 월터 마틴이 확인하였듯이 그 시대의 성경 예언 해석의 추세 에 의한 것이었으며 미국과 유럽의 유수한 성서학자들이 윌리암 밀러에 앞서 동일한 주장을 한 것이었다.
|
재림교회의 탄생 |
재림운동이 대실망으로 끝난 후, 재림신자들에게 남겨진 문제는 첫째, 재림 운동의 역사적 경험은 한낱 미몽인가, 아니면 성서적 타 당성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재림운동이 성서적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면 2300 주야에 대한 예언 계산은 정확한 것인가, 아니면 다시 계산해야 하는가 하는 것이었다. 예수께서 다시 오겠다고 약속하신 것을 굳게 믿으며, 초교파적인 배경을 가지고 성경 연구를 계속한 신실한 그리스도인들은 요한계 시록 11장에서 재림운동의 예언적 근거를 발견하였으며, 여러번에 걸친 진지한 성경 연구와 토론을 걸쳐 그리스도의 하늘 성소 봉사 에 대한 이해와, 다니엘서에 나타난 2300 주야의 끝이 예수께서 이 땅에 오시는 사건이 아니라 하늘의 지성소로 들어가시는 사건임을 깨닫게 되었다. 이에 그들은 예수 재림의 임박성을 확신하면서도 재림의 "때와 기한은 아버지께서 자기의 권한에 두셨다"는 사도행전 1장 7절의 신앙을 확고히 하게 되었다. 1848년에 이르러, 확고부동한 재림 신앙과 함께, 창조주 하나님을 예배하는 참된 예배일은, 태초로부터 창조의 기념일로 제정되어 온 인류에게 복 주시는 날로 성별되었을 뿐만 아니라 십계명의 넷째 계명에 명시된 일곱째 날 즉 오늘의 토요일이 참된 안식일이라는 것도 깨닫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초교파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던 이 들은, 각 교파의 교리 중 성경적 근거가 확실한 진리들을 수용하여 중세 시대 동안 잃어버렸다가 종교개혁 이후 각 개신교회들로 흩어진 진리들을 한 교회 안으로 결집할 수 있었다. 이 무리들은 태초부터 제정된 일곱째 날인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키며, 예수 재림을 확고한 소망을 가지고 기다 리는 신앙 공동체를 구성하기로 결정하고, 1860년에 Seventh-day Adventists, 즉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라는 이름을 채택하였으며, 3년 후인 1863년에 세계선교를 위한 대총회를 조직하여 1차 총회를 개최하였고, 초대 대총회장에 존 바이잉턴(John Byington, 1798-1887) 목사가 취임하였다. 재림교회는 마르틴 루터가 주창한 개신교 종교 개혁 사상의 핵심인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의 개혁 신앙을 근본으로 하여 철저한 성경중심의 신앙을 가르치고 실천하는 복음주의 개신교회이다. 재림교회는 어떤 교회나 인간의 전통보다 성경을 신앙 의 최고의 권위로 인정하며, 각 교회가 성경적 근거를 가지고 신앙하고 있는 교리들을 수용하고, 양심적이고 객관적인 성경 연구를 통하여 교리를 확립하였다. | | | | | | | |